당연한 얘기지만, GDP에 대한 블로그 글을 하나만 써서는 내가 공부하기에도, 독자들이 정보를 얻어가기에도 충분하지 않을 것이 확실해보인다. GDP에 대해 챗 GPT와 대화를 나누다 보니 GDP에 대한 글 목록이 10개가 얻어졌다. 블로깅은 이 목록을 따라갈 것이다.
당연히 검증은 필수다. 요즘 챗 GPT 바보 만들기가 넷상에서 유행이라고 한다. 챗 GPT가 정확한 답을 내놓기보다는 그럴듯한 답변을 내놓게 만들어진 알고리즘이다 보니 질문에 따라 엉뚱한 답을 내놓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번 GDP에 대한 대화에서도 역시나 틀린 답을 내놓은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보조 수단으로 훌륭한 비서 역할을 한다고 본다. 사람을 비서로 쓴대도, 완벽할 리 없잖은가.
국민소득 (GDP) 개념
GDP (Gross Domestic Product) : 학교 다닐 때는 국내총생산이라는 용어로 배우기도 했다. 특정 기간동안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합산한 금액이다. 한 국가의 경제활동 규모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2023년 현재, GDP 세계 1위, 2위 국가는 미국, 중국이다. GDP가 증가하면 경제활동이 활발해졌다는 의미이고, 감소하면 둔화되었다는 의미이다.
국민소득 (GDP) 발표 및 측정방법
분기 및 연간별로 한국은행에서 발표한다. GDP는 일반적으로 3가지 방법으로 측정된다. 첫째, 생산 방법론은 각 산업에서 생산된 가치를 합산하여 측정한다. 둘째, 지출 방법론은 개인 소비, 정부 지출, 투자, 수출 등 각 항목의 총액을 합산하여 측정한다. 셋째, 소득 방법론은 국내에서 벌어지는 총 소득을 합산하여 측정한다.
위 세가지 방법을 각각 명목과 실질 GDP로 따로 측정하는데, 명목 GDP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이 고려되지 않은 값이고, 실질 GDP는 인플레이션이 고려된 값이다.
국민소득 (GDP) 찾아보기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s://ecos.bok.or.kr/#/SearchStat)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경제활동별 GDP 및 GNI'를 보면 명목, 실질 GDP로 두개 씩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른쪽에 산업별로 GDP값을 측정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GPT와 함께하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소득 (GDP) 원계열, 계절조정이란 무엇인가요? (0) | 2023.02.25 |
---|---|
GDP와 산업별 생산활동 (산업별 GDP 변동과 이에 대한 분석) (0) | 2023.02.25 |
GDP와 경기 침체의 관계 (경기 침체와 GDP의 변화 소개) (0) | 2023.02.25 |
국민소득(GDP)의 구성 요소와 의미 (0) | 2023.02.25 |
챗 GPT가 알려준 한국 거시경제 데이터 50 (0) | 2023.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