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 GPT와 ENFP
요즘 챗 GPT 가지고 노는 게 일상이다. 굉장히 흥미로운 장난감을 찾은 동시에, 모든 답을 가진 선생을 찾은 기분이다. 나처럼 여러 생각이 나타났다 금방 사라져서 정리할 시간마저 없는 ENFP에게는 정리를 도맡아줄 너무 든든하고 파워풀한 도구다. '어떻게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 찾아낸 방법 중 하나가 챗 GPT로 경제 공부를 해보는 것이다.
챗 GPT와 함께하는 경제공부 첫 번째 - 거시경제 데이터
사회생활 시작 후, 썩 성공적이지 못했던 투자활동을 돌아보면, 내 기준 없이 다른 사람들의 말에 휘둘렸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른 사람이란, 책을 포함한 유튜버를 포함한 말이다. 공부를 하겠다고 삼 프로도 열심히 듣고, 유명한 책들을 읽었지만 내 나름의 기준이 없어서 투자를 해야 할 때는 무서워서 못하고, 투자를 쉬어야 할 때는 초조해서 못 쉬었다. 이것을 극복하게 해주는 열쇠는 역시 데이터라고 생각한다. 남들이 해석해 주는 데이터 말고, 내가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여야 한다.
한국 거시경제 데이터 50
일단, 어떤 데이터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다음 포스팅에서 그에 대해 하나씩 공부해 갈 예정이다.
챗 GPT가 알려주는 거시 경제 데이터 50은 다음과 같다.
Q. 한국 거시경제 데이터 50개 알려줘
A. 죄송하지만, 제가 직접 한국 거시경제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 및 정부 기관은 다양한 거시경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국가의 경제상황 및 추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경제학자, 기업가, 투자자 및 일반 대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여기에 대한민국 정부 및 정부 기관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대표적인 거시경제 데이터를 나열해 보았습니다.
- 국민소득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은행)
- 소비자물가지수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생산자물가지수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고용률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실업률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경제성장률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은행)
- 경제활동 참가율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수출입 총액 : 월별 20일 발표 (한국국제무역협회)
- 외환보유액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기업경영실적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은행)
- 경제지표동향 : 매월 말일 발표 (한국은행)
- 민간소비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건설수주액 : 월별 15일 발표 (한국토지주택공사)
- 건설기성액 : 월별 15일 발표 (한국토지주택공사)
- 건설비용지수 : 월별 10일 발표 (한국토지주택공사)
- 건설생산지수 : 월별 10일 발표 (한국토지주택공사)
- 서비스업생산지수 : 월별 25일 발표 (한국은행)
- 제조업 생산지수 : 월별 25일 발표 (한국은행)
- 산업생산지수 : 월별 25일 발표 (한국은행)
- 전산업생산지수 : 월별 25일 발표 (한국은행)
- 투자실적 : 분기별 3개월 말 발표 (한국은행)
- 외국인 투자유치액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주택가격지수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감정원)
- 주택매매가격동향 : 매월 말일 발표 (한국감정원)
- 주택임대료지수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감정원)
- 유통수익지수 : 월별 25일 발표 (한국은행)
- 대출금리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예금금리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외환환산손익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외국인 관광객 유입인원 : 월별 10일 발표 (한국관광공사)
- 공공기관 채용공고 수 : 월별 10일 발표 (한국산업인력공단)
- 소상공인 판매액 : 월별 20일 발표 (중소벤처기업부)
- 학생수 : 매년 4월 발표 (교육부)
- 평균소비자가격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고용보험료 : 월별 20일 발표 (고용노동부)
- 산업별 노동생산성 : 매년 말일 발표 (한국은행)
- 신규 아파트 분양가격지수 : 매월 말일 발표 (국토교통부)
- 외환거래현황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 법인 세율 : 매년 1월 발표 (국세청)
- 대학생 취업률 : 매년 11월 발표 (한국고용정보원)
- 농가소득 : 매년 1월 발표 (농촌진흥청)
- 기업 창업률 : 매년 6월 발표 (중소벤처기업부)
- 대학 교직원 수 : 매년 4월 발표 (교육부)
- 사망률 : 매년 12월 발표 (보건복지부)
- 출산율 : 매년 12월 발표 (보건복지부)
- 국내총생산(GDP)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은행)
- 국내총지출(GNE)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은행)
- 국내총수지(GNI) : 분기별 3개월말 발표 (한국은행)
- 외국인 주식 : 월별 20일 발표 (한국거래소)
- 금리 수준 : 월별 10일 발표 (한국은행)
'GPT와 함께하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소득 (GDP) 원계열, 계절조정이란 무엇인가요? (0) | 2023.02.25 |
---|---|
GDP와 산업별 생산활동 (산업별 GDP 변동과 이에 대한 분석) (0) | 2023.02.25 |
GDP와 경기 침체의 관계 (경기 침체와 GDP의 변화 소개) (0) | 2023.02.25 |
국민소득(GDP)의 구성 요소와 의미 (0) | 2023.02.25 |
국민소득(GDP) 개념 및 측정방법 (0) | 2023.02.25 |
댓글